엑스레이 사전 차단 서비스 시범 운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스미싱 등 악성 문자를 발송 단계에서부터 차단할 수 있는 ‘엑스레이 사전 차단 서비스’를 내일(9일) 오전 9시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시스템은 악성 문자 속 스미싱 유도 링크 등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면밀히 분석하여 차단하는 목적으로, ‘엑스레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문자 재판매사와의 협력
과기정통부는 엑스레이 사전 차단 서비스를 문자 판매사인 에스엠티엔티가 우선 도입한다고 전했습니다. 시범 서비스를 도입한 문자 재판매사나 중계사가 악성 문자인지를 파악하면, 해당 문자가 수신자에게 전달되기 전에 KISA에 스미싱 검사를 의뢰하게 되는 방식입니다.
기존 대응 방식의 한계
지금까지는 스팸 문자를 수신한 이용자가 카카오톡 보호나라 채널 등을 통해 KISA에 신고하면, 악성 여부를 판단하여 발신 번호와 인터넷주소(URL)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대응해 왔습니다. 그러나 대량으로 발송되는 악성 문자를 개인이 모두 신고하고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실수로 스미싱 등에 당하는 사례도 빈번했습니다.
엑스레이 서비스의 확대 계획
과기정통부는 “대량으로 악성 문자가 발송되면서 수신자가 신고, 조치 등 대응을 일일이 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실수로 스미싱 등에 당하는 경우도 있어 보다 효과적인 대응이 필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으로 엑스레이 사전 차단 서비스를 확대하여 더욱 많은 문자 재판매사와 중계사가 이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스미싱의 현재 상황과 대책
스미싱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피싱 공격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탈취하거나 금전적 피해를 입히는 수법입니다. 최근 몇 년간 스마트폰 사용이 대중화되면서 스미싱 피해 사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이러한 스미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기술 개발과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국제적 대응과 협력
스미싱 문제는 국경을 초월한 문제로, 국제적인 대응과 협력이 필요합니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해외의 다양한 인터넷 보안 기구와 협력하여 스미싱을 포함한 다양한 사이버 위협에 공동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제적 협력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스미싱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비평: 엑스레이 서비스의 기대와 우려
엑스레이 사전 차단 서비스는 스미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진전입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작동할지는 여전히 지켜봐야 합니다. 문자 재판매사와의 협력과 검증 과정에서의 오류 가능성, 그리고 개인정보 보호 문제 등 여러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또한, 스미싱 공격 수법도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도 끊임없이 발전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엑스레이 서비스는 스미싱 예방에 있어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1 thought on “엑스레이 사전 차단 서비스 시범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