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강진 피해 확산

미얀마 강진 발생

지난 28일 미얀마에서 발생한 규모 7.7의 강진으로 인해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중국 CCTV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지진으로 미얀마에서는 144명이 숨지고 732명이 다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진 발생 시점과 위치

지진은 현지 시간으로 어제(28일) 오후 12시 50분쯤 발생했습니다. 진앙은 미얀마의 수도 네피도에서 약 250km 떨어진 곳이며, 제2의 도시인 만달레이에서는 33km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군사 쿠데타 이후의 미얀마

현재 미얀마는 군부 쿠데타 이후 4년간 내전이 이어지고 있어 사고 수습과 피해 현황 파악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미얀마 군정은 6개 피해 지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 사회에 인도주의적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현지 피해 상황

현재 미얀마에서는 붕괴된 호텔과 무너진 교량의 사진이 SNS를 통해 확산되고 있으며, 종합 병원의 응급실에는 많은 인파가 몰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의료진과 구조대의 긴급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태국과 중국의 상황

진앙으로부터 1천km 이상 떨어진 태국 방콕에서도 지진의 여파가 있었습니다. 방콕에서는 건설 중이던 30층 높이의 건물이 무너져 90명이 실종되고 3명이 숨졌습니다. 태국 국방부장관은 매몰 인원의 구출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중국 윈난성에서도 지진이 감지되었으며, 부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국 국민의 안전

한편, 이번 지진으로 인한 우리 국민의 인적 피해는 현재까지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외교부는 지진 피해 상황을 주시하며 다양한 안전 조치를 강구할 계획입니다.

지진의 여파와 대책

미얀마의 이번 지진은 군부 쿠데타로 인한 정치적 불안정과 맞물려 피해 복구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국제 사회의 인도주의적 지원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태국과 중국에서도 지진의 여파로 인해 인명 피해가 발생한 만큼, 인근 국가들도 지진 대비책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진은 자연재해 중에서도 예측이 어려운 만큼, 각국은 지진 대비 시스템을 점검하고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특히, 지진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전달과 구조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중요합니다.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