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특사의 평화 계획 주장
키릴 드미트리예프 러시아 직접투자펀드(RDIF) 대표는 21일 소셜미디어 엑스(X)를 통해 미국이 제시한 우크라이나 평화 계획이 “우크라이나를 구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드미트리예프 특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승인한 28항의 평화 계획을 마련하는 데 개입한 인물로 알려졌습니다.
평화 계획의 주요 내용
여러 외신에 따르면 이 계획에는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영토를 러시아에 양보하고 크림반도의 러시아 병합을 인정하며 우크라이나군 규모를 제한하는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내용은 러시아가 그간 요구해 온 사항들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27일을 합의 시한으로 제시하며 우크라이나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의 반응과 러시아의 입장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존엄성을 잃거나 핵심 동맹국을 잃을 위험을 감수하거나 어려운 조항 28개를 받아들이거나 혹독한 겨울을 보내야 하는 상황”이라며 난색을 보였습니다. 반면,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 국가안보회의에서 이 평화 계획이 최종 합의의 기반이 될 수 있다고 평가하며 미국과의 논의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습니다.
평화 계획에 대한 전문가의 견해
전문가들은 이번 평화 계획이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특히, 돈바스 영토와 크림반도 문제는 우크라이나의 국가적인 자존심과 직결된 사안으로, 이러한 내용이 포함된 평화 계획은 우크라이나 내부 정치적 불안정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합니다.
미국과 러시아의 외교적 움직임
세르게이 랴브코프 러시아 외무차관은 러시아 외교잡지 ‘국제문제’ 인터뷰에서 푸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여전히 의제에 있으며, 지난 8월 미국 알래스카에서의 정상회담 이후 우크라이나 종전 합의는 이루지 못했으나, 계속해서 대화를 이어나갈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국제 사회의 반응
국제 사회는 이번 평화 계획에 대해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NATO와 EU는 우크라이나의 주권을 존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며, 러시아의 요구를 수용하는 것은 국제법 위반이라는 입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반면, 일부 국가는 평화적 해결을 위한 합의를 찾기 위해 양국 간의 대화를 지지하고 있습니다.
비평: 평화 계획의 실효성
이번 평화 계획은 겉으로는 우크라이나를 구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러시아의 요구를 다수 반영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우크라이나의 영토 주권과 국제사회의 법적 기준을 고려할 때, 이 계획이 평화로 가는 길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한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국제 사회는 이 사안에 대해 더욱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며, 당사국 간의 이해관계가 철저히 조정되어야 할 것입니다.